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103 lines (70 loc) · 6.48 KB

28-cache.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103 lines (70 loc) · 6.48 KB
extends section current_index
_layouts.master
content
29

실전 프로젝트 1 - Markdown Viewer

28강 - Cache

우리가 사용한 마크다운 파일은 자주 변경되지 않는다. 즉, 매번 사용자가 요청할 때 마다 모델에서 요청한 파일을 읽어 들이고, ParsedownExtra 클래스 인스턴스를 만들어서 text() 메소드를 호출한다는 것은 서버의 CPU 및 메모리 자원뿐만아니라 사용자의 시간을 낭비하는 일이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서버측 캐시이다. 캐시는 HTTP 요청에 대한 응답을 파일 또는 메모리에 저장해 두었다가 두번째 요청부터는 저장소에서 바로 꺼내어 주는 기능이다. 데이터베이스 드라이버와 마찬가지로 라라벨 캐시도 다양한 드라이버를 지원한다.

캐시 설정

.env 와 config/cache.php를 열어서 기본 캐시 드라이버 설정을 확인하자. file 드라이버를 사용하고 있고, 캐시 저장소는 storage/framework/cache 인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실습을 위해 file 드라이버를 그냥 사용하도록 하자.

CACHE_DRIVER=file
'...' => '...',
'file' => [
    'driver' => 'file',
    'path'   => storage_path('framework/cache'),
],

컨트롤러에 캐시 기능 추가

DocumentsController::show() 메소드를 수정할 것이다. 캐시는 key => value 저장소라는 것을 기억하자.

    public function show($file = '01-welcome.md')
    {
        $index = \Cache::remember('documents.index', 120, function () {
            return markdown($this->document->get());
        });

        $content = \Cache::remember("documents.{$file}", 120, function() use ($file) {
            return markdown($this->document->get($file));
        });

        return view('documents.index', compact('index', 'content'));
    }

Cache Facade 를 이용한다.

remember() 메소드의 첫번 째 인자는 키 이름이다. 이 키 이름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것이다. 두번째 인자는 캐시를 유지할 시간이다. 키 이름에 해당하는 값이 캐시 저장소에 없으면, 세번째 인자로 받은 콜백을 실행한다. 이 콜백에서 반환되는 값을 캐시 키 값으로 해서, 두번째 인자로 지정된 시간만큼 캐시 저장소에 가지고 있는다. 지정된 시간 내에 들어온 요청에 대해서는 세번째 인자인 콜백을 실행하지 않고, 캐시 저장소에서 키 값에 대응되는 값(value)를 찾은 후 반환하는 식이다.

이 예제에서는 키 이름을 document.indexdocuments.문서이름으로 지정했고, 첫 캐시가 적재된 이후 2시간 동안은 캐시에서 바로 응답하도록 했다. 가령, 8시 정각에 첫 요청이 들어와 새로운 캐시가 생성되었다면, 10시까지는 캐시에서 응답을 하다가, 10시 1초 이후에 요청이 들어오면 다시 콜백을 수행하고 캐시 저장소에 키와 값을 적재하게 된다. (무슨 얘긴지 이해 되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반복해서 설명했다.)

참고 앞 강의에서 계속 Closure라는 용어를 썼다. 이번 강의에서는 콜백이란 용어를 썼다. 엄격하게 다르지만, 지금은 같은 용어라고 생각하자.

참고 "어떨 때는 클래스 앞에 \ 를 쓰고 어떨 때는 안 쓰고 왜 그래요?" "이번에는 일부러 쓴 것이다." \는 루트 네임스페이스를 의미한다. 우리 컨트롤러는 App\Http\Controllers 네임스페이스 아래에 위치한다. 컴퓨터에서 절대경로와 상대 경로를 얘기할 때랑 마찬가지로, Cache라고 그냥 쓰면, App\Http\Controllers\Cache를 의미하게 되고(상대 경로), 그런 클래스는 존재하지 않는다. 해서 루트 (\) 네이스페이스에 존재하는 Cache 라고 명시적으로 쓴 것이다. 클래스를 시작하기 전에 use 키워드로 전체 경로를 표시해 주면 \를 생략할 수 있다. (이는 네임스페이스가 있는 모든 언어 마찬가지다. Java의 경우 use 대신 import를 사용한다. import org.apache.http.client.HttpClient 처럼.)

실험해 볼까?

서버를 띄우고, '/docs' Route를 처음으로 방문해 보자. 그리고, storage/framework/cache 아래에 캐시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해 보자. 또, 'docs' Route를 다시 방문해 봐도, 우리 예제가 무겁지 않아서 별로 빨라진 것은 못 느낄 것이다. Document::show() 메소드에 dd('reached') 와 같은 디버그 코드를 넣고 다시 요청해 보자. 클라이언트 측의 요청이 캐시에 의해 바로 응답되고, Document 모델에 도달하지 않을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docs/01-welcome.md 를 수정하고 재요청해봐도 수정된 내용은 표시되지 않을 것이다, 2시간 동안은...

그럼, 2시간 내에 내용이 변경되면 어떻게 하지?

일단은 artisan CLI를 이용해 수동으로 지워 보자. 변경이 생기면 이벤트를 던져서 캐시를 초기화하는 것은 뒤에 다시 배운다.

$ php artisan cache:clear

(OPTIONAL) Memcached

파일 캐시도 훌륭하다. 하지만 실전에서는 memcache나 redis와 같은 인 메모리(in-memory) 캐시를 주로 사용한다. 여기서는 memcached를 사용할 것이다.

.env 를 수정하자.

CACHE_DRIVER=memcached

먼저 이전에 사용했던 file 캐시를 삭제하고 memcached 를 설치하고 실행하자.

$ rm -rf storage/framework/cache/*
$ brew search memcache
$ brew install homebrew/php/php56-memcached # 자신의 php 버전에 맞는 모듈을 설치하자.

# 설치 종료 후 콘솔에 표시된 memcached 시작 코맨드를 잘 살펴보자.
# 필자의 장치에는 이미 설치되어 있어, 알고 있던 코맨드를 남긴다.
$ memcached -u memcached -d -m 30 -l 127.0.0.1 -p 11211
# 본 강좌랑 무관하므로 사용법은 구글링으로 찾아 보시길..

file 캐시에서 했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캐시 기능이 잘 동작하는 지 확인해 보자. 설정 값이 변경되었으므로 테스트 전에 $ php artisan serve 를 재기동하는 것을 잊지 말고.

참고 서버 측 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브라우저) 측에서도 캐싱을 한다. 라라벨과 무관하므로 설명하지 않는다.